차 관세 15%? 아쉽지만 괜찮아! 김용범 실장이 말하는 기회는 뭐시당가..

차 관세 15%? 아쉽지만 괜찮아! ..

워메, 협상이 잘 끝났다 안허냐..

아따, 거시기.. 우리 수출할 때 앞날이 캄캄했는디, 미국하고 관세 협상이 잘 끝나부렀어.. 덕분에 불안했던 마음이 사라지고, 다른 나라보다 우리가 물건을 더 잘 팔 수 있는 발판이 생겨부렀다는 거여.. 얼마나 다행이냐..

관세는 쬐까 깎아주고, 우리 밥줄은 지키고..

차 관세 15%? 아쉽지만 괜찮아! ..

차 관세 15%? 아쉽지만 괜찮아! ..

이번에 협상한 중요한 내용은 이렇단다.. 원래는 25%씩이나 받으려 했는디, 거시기 15%로 낮춰주기로 해부렀어.. 특히 말여, 우리 효자 품목인

자동차 관세도 똑같이 15%로 하자고 합의를 해부렀어..

또, 앞으로 관세 부과될지도 몰랐던 반도체나 약 같은 것도 다른 나라하고 똑같이 불리하지 않게 잘 해준다고 했당께..

그리고 말여.. 미국 사람들이 식량 안보 걱정한다고 쌀하고 소고기 시장도 열어달라 했는디.. 아따, 우리 밥줄인께 허벌나게 싸워갖고.. 거그는 안 열기로 해부렀어.. 얼마나 다행이여..

서로 돕고, 더 큰물에서 놀고..

차 관세 15%? 아쉽지만 괜찮아! ..

차 관세 15%? 아쉽지만 괜찮아! ..

차 관세 15%? 아쉽지만 괜찮아! ..

아따, 돈 모아갖고 뭘 할라고 그라냐..

긍께 말여, 우리랑 미국이 배 만드는 거 있제.. 그거 서로 도와줄라꼬

1500억 달러라는 허벌나게 큰 돈을 모아놨당께..

그 돈 갖고 우리 기업들이 배 만들고, 고치고, 부품 만드는 데 쓸라고 해.. 또 반도체, 원전, 배터리, 바이오 같은 우리 잘하는 거 있잖애.. 그기도 미국에다 투자할라꼬

2000억 달러를 또 모아놨는디..

이거이 우리 기업들한테는 진짜 좋은 기회일거여..

근디 차 관세는 쬐까 아쉽지라..

원래는 우리 차들은 관세 0%였는디.. 일본은 15% 받았다고 우리도 12.5%가 맞다고 우겼는디.. 거시기 결국 15%로 해부렀어.. 쬐까 아쉽지라..

"대미 관세 15%는 과거와는 다른 교역 환경이자 도전인 것이 사실이며, 정부는 기업들이 경쟁력을 키우고 수출 시장을 다변화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습니다."

그 거시기 김용범 정책실장이란 양반이 이런 소리를 했드만.. 긍께, 우리도 정신 똑띠 차리고 힘을 모아갖고.. 이 아쉬운 점을 기회로 만들어야 쓰겄제.. 우리 강아지들은 이 소리 듣고 뭔 생각이 들었냐..?

결국은 좋은 일 아니겠냐..

차 관세 15%? 아쉽지만 괜찮아! ..

아따, 말 나온 김에.. 우리 기업들이 거시기 수출할 때 앞날이 캄캄했던 거이 싹 해결되고, 새로운 일이 생겨부렀다는 거여.. 정부하고 기업이 하나가 돼갖고 힘을 모아서.. 이 아쉬움을 다 극복하고 새로운 기회를 만들어낼거여.. 아주 긍정적인 결과제..

이번 협상의 제일 큰 의미는 우리 기업들이 다른 나라하고 똑같이 경쟁할 수 있는 좋은 발판이 마련됐다는 거여..

궁금한 거 있나 싶어..

Q1. 아니, 워째 차 관세가 0%에서 15%로 올라부렀댜..?
A. 원래 한미 FTA라는 거 때문에 0%였는디.. 이번에는 새로운 무역 환경에 맞춰서 다시 정한 거여.. 다른 나라하고 비교해보니 12.5%가 맞다고 우겼는디.. 아쉽게도 15%로 결정돼부렀단다..
Q2. 그 돈 모았다는 거는 워따 쓰려고 모은 거여?
A. 1500억 달러는 배 만드는 기업들 도와주려고 모은 거여.. 2000억 달러는 반도체나 원전 같은 우리 기업들이 미국에 진출하는 데 쓰라고 모았당께..
Q3. 밥이랑 소고기는 왜 안 열어줬대?
A. 미국 사람들이 허벌나게 열어달라고 했는디.. 우리 밥줄인 농업 지키자고 정부가 허벌나게 싸워서 안 열어주기로 했단다.. 얼마나 장하냐..
Q4. 이번에 제일로 잘한 거이 뭐시여?
A. 앞날이 캄캄했던 수출 환경이 싹 해결됐다는 거여.. 정부랑 기업이 하나가 돼갖고 좋은 경쟁 발판을 만들어줬제..

아따, 오늘 할미가 해준 이야기 어땠냐.. 거시기.. 이 글이 우리 강아지들한테 도움이 됐다면 주변 사람들한테도 많이 이야기해줘..

반응형